갑자기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경황이 없고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장례를 치르면서 어려웠던 부분이 있어 정리해봤습니다. 누구나 한번은 겪어야 하는 상황이기에 알고 있으면 좋으니 끝까지 읽어보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장례식 절차 준비
지병 또는 사고 등 갑자기 부모님이 돌아가신 경우 장례식 절차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 당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옆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누군가 있으면 좋습니다. 상조에 가입 되어 있으면, 상조를 이용하면 됩니다.
만약 상조에 없다면, 장례식장 자체에서 준비를 도와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1. 장례식장 예약
장례식장은 집과 거리가 가까우면 좋습니다. 하지만 장례식장 예약이 꽉 차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식장 선택이 되었다면, 상담하는 분이 하나하나 설명하며 도움을 줍니다. 조문하는 손님 인원에 따라 빈소를 정하게 되며, 빈소 차림도 정하게 됩니다.
화장을 하는 경우 화장터 예약도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
- 빈소 선택 : 조문 오시는 손님들의 인원수에 대비 해서 크기 선택
- 장례 일정 및 시설 이용안내
- 빈소차림 선택 : 장식용품 및 상복, 제단장식, 영정사진 등
- 화장장 예약
만약 병원에서 돌아가신 경우라면, 미리 사망진단서 10부 정도 발급 받아 오는 것이 좋습니다.
2. 부고장 발송
부고를 알릴 가족 및 친척, 친구, 지인 등 연락처를 정리해서 부고장을 만들어 보내면 됩니다. 상조에 가입 되어 있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저의 경우 상조를 이용 할 수 없었기에 직접 보냈습니다.
제가 이용한 모바일 무료 부고장은 🔽아래 연결되어 있으니 원하는 것을 선택 후 이용하시면 됩니다.
3. 묘지 및 납골당 예약
보통 장례식장을 예약하면서 상담 중 선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의 경우 부모님이 국가유공자셔서 현충원 안장이 되는 걸로 알고 장례식장에서 신청했습니다.
미리 납골당 및 묘지 선택이 안되어 있다면, 장례식장과 연결 되어 있는 곳을 이용해도 되며, 🔽아래 e하늘 장사정보에 들어가면 지역별로 안내 하고 있으니 이용하시면 됩니다.
4. 영수증 보관
장례 중 사용한 금액의 영수증은 모두 모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나중에 공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장례비용과 관련된 모든 영수증은 보관해야 합니다.
- 장례에 관한 모든 비용 영수증
- 돌아가신 후 병원비 납부 영수증